취미는 사회생활 속에서 지친 육신을 달래주고 다음 주를 살아갈 동기를 부여한다.
사무직이 헬스나 여행이 취미인 것처럼, 택시기사에겐 드라이브가 취미가 못된 것처럼 사회생활로 충족시키지 못했던 자극을 취미로 가지는 경우가 많다. 이처럼 취미는 살아가는데 주위를 환기시켜 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누군가는 이렇게 이야기한다. 취미는 돈 쓰는 것, 밖으로 나가는 것, 성취감이 있는 것 이렇게 3가지의 취미를 가지는 것이
삶의 질을 높이는 방법이라고. 이 의견에도 충분히 동의한다. 하지만 본인의 사회에서의 모습을 인지하고 취미로써 해소해나가게 하기 위해서는 취미에 대해서 심층적으로 나누어서 볼 필요가 있다.
1차원적 분류
취미를 가장 크게 나누어본다면, 2가지로 나눌 수 있을 것이다. 정적인 취미와 동적인 취미. 여기서 각각의 분류에는 어떤 취미가 속할까.
정적인 취미
- 뜨개질, 책 읽기, 공예, 꽃꽂이, 등
동적인 취미
- 축구, 드라이브, 헬스, 검도 등
그림으로 그려보면 위와 같이 일차원 좌표평면상에 두 점으로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일반적인 사람들이 생각하는 취미의 분류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스스로의 성향에 따라 정적인 취미와 동적인취미를 가진다. 내향적인 사람은 정적인 취미를. 외향적인 사람은 동적인 취미 활동을 하면서 새로운 기운을 얻는다. 물론 내향적인 사람이 동적인 취미를 가질 수도 있고 외향적인 사람도 정적인 취미를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예를 들어보자.
필자는 주중을 살면서 동적인 취미가 하고 싶었다. 그래서 운동을 생각했지만 막상 주말이 되니 주중 회식의 여파와, 일독이 풀리지 않아서 운동을 하기 싫었다. 그럼에도 활동적인 무언가를 하고 싶었지만 어떤 대안이 떠오르지 않아서 결국 아무것도 하지 못했다. 계획은 틀어졌고 방향을 잃은 나는 아무것도 하지 못하고 하루를 흘려보내고 말았다.
이런 분류 체계라면 계획이 틀어졌을 때 쉽게 대안을 마련할 수 없을 것이다. 1차원적 분류체계라면 동적인 취미는 몸을 움직여야만 하는 취미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동적인 취미라는 것은 무엇일까. 단순히 밖에 나가서 몸을 움직이는 것을 뜻할까? 아니다. 어떤 활력을 불어넣어 주고 어떤 것을 소모했다는 뿌듯함과 개운함이 동시에 포함된 취미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꼭 몸을 움직여야 동적인 취미라 할 수 있을까?
2차원적 분류
필자는 여기서 취미의 분류를 좀 더 세분화하고 싶다. 동적인취미와 정적인 취미와 더불어 몸을 소모하느냐, 정신을 소모하느냐 즉 외면을 소모하느냐, 내면을 소모하느냐로 말이다.
이렇게 세분화를 한번 더하고 나면 취미는 크게 4가지로 나뉜다. 동적이면서 정신을 소모하는 취미, 동적이면서 신체를 소모하는 취미, 정적이면서 정신을 소모하는 취미, 정적이면서 신체를 소모하는 취미. 이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이 2차원 좌표평면을 그릴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각각의 분류에는 어떤 취미가 속해질까.
동적이면서 내면을 소모하는 취미
- 글쓰기 등
동적이면서 외면을 소모하는 취미
- 축구, 등산, 드라이브 등
정적이면서 내면을 소모하는 하는 취미
- 책 읽기 등
정적이면서 외면을 소모하는 하는 취미
- 만들기 등
좀 전의 예를 다시 들어보자. 몸은 단지 어떤 동적인 활동을 통해 호르몬을 얻어 몸의 균형을 맞추고 싶었을 테지만, 그것에 대한 적절한 분류체계와 경험이 없는 나는 활동적인 걸 하고 싶다는 몸의 신호에 '활동적인 게 뭐가 있을까? -> 아 운동이 있지!' 하고 주말 운동을 하려고 계획을 짰을 것이다. 하지만 당시 상황이 운동을 하지 못하는 상황이 되자 스트레스를 풀지 못하는 상황에 놓이게 된 것이다.
하지만 위의 분류대로라면 단순히 운동 말고도 어떤 고민과 해결방안을 통한 동적이면서 내면에 집중하는 취미를 통해 뇌가 원하는 호르몬을 분비할 수 있었을 것이고 여가시간을 의미 있게 보낼 수 있었을 것이다.
3차원적 분류
또한 취미라고 하는 것은 대부분이 배우는 것과 연관되어 있다. 여가시간마다 원데이클래스로 배우거나 집에서 책을 보고 연구하 거나한 것처럼 사회생활을 하는 사람들은 무언가를 배움으로써 새로운 취미를 만 들길 원한다. 따라서 취미를 한 차원 더 세분화한다면 취미를 하는 주체가 능동적인지, 수동적인지로 나눌 수 있을 것이다.
간단히 말하면, 능동적인 취미란 어떤 것을 배움에 있어서 스스로 연구하고 독학하는 것과 같이 자발적으로 계획해서 움직이는 것을 나타내며 수동적인 취미란 배움에 있어서 누군가의 가르침을 받아 지식을 습득하는 것을 뜻한다.
기존의 활동의 강도에 따른 x축 외면과 내면을 소모하는 정도에 따른 y축에 주체의 능수동의 정도에 따른 z 축을 추가하면 아래와 같은 그림이 나올 것이다.
각각에 분류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분류와 포함되는 취미에 대해 알아보자.
동적으로 내면을 소모하는 수동적인 취미
- 글쓰기강의수강, 원데이클래스 수강 등
동적으로 내면을 소모하는 능동적인 취미
- 에세이, 시, 소설 쓰기 등
동적으로 외면을 소모하는 수동적인 취미
- PT 1:다 수업 골프클래스 등
동적으로 외면을 소모하는 능동적인 취미
- 축구경기, 야구경기, 헬스 등
정적으로 내면을 소모하는 수동적인 취미
- 책 읽는 법 배우기, 음악듣는법 배우기 등
정적으로 내면을 소모하는 능동적인 취미
- 책 읽기, 음악 듣기, 라디오 듣기 등
정적으로 외면을 소모하는 수동적인 취미
- 브루잉원데이 클래스, 공예 원데이 클래스 등
정적으로 외면을 소모하는 능동적인 취미
- 브루잉, 공예 등
이처럼 취미를 3차원상의 그래프로 나타내여 보았다.
이렇게 분류하고 보니 취미에 대해 다양한 접근이 가능할 것 같아 보인다. 예를 들어 한 주 동안 야외에서 많이 활동한 아래 직급들은 좀 더 정적이고 능동적이고 내면을 소모하는 취미를 가지며 다시 회복할 수 있을 것이고, 실내에서 많이 활동한 윗직급 들은 동적이고 수동적이며 외면을 소모하는 취미는 가지며 회복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모든 예가 정답은 아니겠지만.
물론 필자가 생각한 분류기준 외에 다양한 기준이 있을 것이라는 걸 잘 안다.(좋은 의견이 있으면 댓글로 남겨주길 바란다.)
이런 분류체계를 가지고 있다면 그때그때 변하는 상황에 따라 쉽게 대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재 본인에게 맞는 취미를 찾고 있는 사람에게도 도움이 될 것 같다.
분류체계를 정리하고 보니 아직 배워야 할 것도 많고 취미의 빈 공간을 메워야 하는 부분도 보인다. 나도 각 포인트에 대응하는 취미를 가지도록 노력해야겠다.